-
CHAPTER 8. (2) 멀티 catch 블럭이란?java/ㄴ CHAPTER 8. 예외처리 2020. 4. 23. 09:59
멀티 catch 블럭
- JDK 1.7부터 | 기호 사용, catch 블럭들을 하나로 합칠 수 있게 됨
- 개수 제한 없음
- 연결된 예외 클래스가 부모, 자식 관계라면 컴파일 에러
ㄴ 왜? 부모 클래스만 쓰는 것과 같기 때문 (ex.FileNotFoundException | Exception)단점
- 어떤 예외가 발생한건지 알 수 없음
- 공통 분모인 부모 예외 클래스에 선언된 멤버만 사용 가능1234567891011try {}catch (ExceptionA e1) {} catch (ExceptionB e2) {} catch (ExceptionC e3) {}를12345try {} catch (ExceptionA | ExceptionB | ExceptionC e) {}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package ex1;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import java.io.FileNotFoundException;import java.io.FileReader;import java.io.IOException;public class ExceptionDemo2 {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try {FileReader reader = new FileReader("C:/setup.log");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reader);String text = br.readLine();System.out.println("파일 내용 : " + text);} catch (FileNotFoundException e) {// 순서는 자식-부모 순서로 (부모 먼저 나오면 에러) 왜? 부모 먼저 나오면 자식이 부모한테 들어감System.out.println("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 파일명을 다시 확인하세요.");} catch (IOException e) {System.out.println("파일을 읽어오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");} catch (Exception e) {System.out.println("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");}}/*catch() {} 블록을 여러 개 작성해야 하는 경우예외를 catch 하는 순서 중요, 부모 클래스가 아래쪽에 위치해야 함맨 마지막 catch () {} 블록은 Exception 객체 잡음ㄴ catch() {} 블록에서 Exception 을 지정하면 생각하지 못한 예외도 해당 블록에서 잡을 수 있음 (갑작스러운 종료 방지)*/}'java > ㄴ CHAPTER 8. 예외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8. (4) ☆ finally 블럭이란? (throw, throws 차이 포함) (0) 2020.04.23 CHAPTER 8. (3) 예외 발생이란? (0) 2020.04.23 CHAPTER 8. (1) 예외처리란? (0) 2020.04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