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/ㄴ CHAPTER 8. 예외처리
CHAPTER 8. (2) 멀티 catch 블럭이란?
Astaroth아스
2020. 4. 23. 09:59
멀티 catch 블럭
- JDK 1.7부터 | 기호 사용, catch 블럭들을 하나로 합칠 수 있게 됨
- 개수 제한 없음
- 연결된 예외 클래스가 부모, 자식 관계라면 컴파일 에러
ㄴ 왜? 부모 클래스만 쓰는 것과 같기 때문 (ex.FileNotFoundException | Exception)
단점
- 어떤 예외가 발생한건지 알 수 없음
- 공통 분모인 부모 예외 클래스에 선언된 멤버만 사용 가능
1
2
3
4
5
6
7
8
9
10
11
|
try {
}
catch (ExceptionA e1) {
} catch (ExceptionB e2) {
} catch (ExceptionC e3) {
}
|
를
로 가능
1
2
3
4
5
|
try {
} catch (ExceptionA | ExceptionB | ExceptionC e) {
}
|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|
package ex1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FileNotFoundException;
import java.io.File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public class ExceptionDemo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try {
FileReader reader = new FileReader("C:/setup.log");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reader);
String text = br.readLine();
System.out.println("파일 내용 : " + text);
} catch (FileNotFoundException e) {
// 순서는 자식-부모 순서로 (부모 먼저 나오면 에러) 왜? 부모 먼저 나오면 자식이 부모한테 들어감
System.out.println("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 파일명을 다시 확인하세요.");
} catch (IOException e) {
System.out.println("파일을 읽어오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");
} catch (Exception e) {
System.out.println("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");
}
}
/*
catch() {} 블록을 여러 개 작성해야 하는 경우
예외를 catch 하는 순서 중요, 부모 클래스가 아래쪽에 위치해야 함
맨 마지막 catch () {} 블록은 Exception 객체 잡음
ㄴ catch() {} 블록에서 Exception 을 지정하면 생각하지 못한 예외도 해당 블록에서 잡을 수 있음 (갑작스러운 종료 방지)
*/
}
|